6월, 2020의 게시물 표시

[만화] 사가판 조류도감 & 어류도감

이미지
사가판 조류도감 사가판 어류도감 일본의 유명 괴기 만화가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작품이다. 모로호시라는 사람을 아는 사람이면 예상할 수 있겠지만, 사실 표지만 봐도 알지만, 실제 존재하는 조류나 어류 도감이 아닌 상상 속 동물을 그린 기괴 만화다. 상상 속의 동물이긴 하지만 현실에 존재하는 동물을 관찰하여 그렸기 때문에 괴이할지언정 어색하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진 옴니버스식 구성인데, 몇몇 에피소드는 연결되지만, 별개의 에피소드로 봐도 될 정도로 각각의 에피소드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하지만 스토리를 보기보다는 모로호시의 상상력과 표현력을 보는 게 더 재밌다. 하지만 추천할 것인가를 묻는다면, 다른 모로호시의 작품들이 다 그렇듯이, 호불호가 갈릴 것이기 때문에 망설여진다. 모로호시의 감각을 좋아하는 사람이면 재밌게 볼 것이고, 취향이 안 맞으면 심각하게 재미없는 만화일 것이다.

[책] 토머스 불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

이미지
토머스 불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 우리나라에 출시된 책 이름은 그리스 로마 신화지만, 굳이 토머스 불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라고 부른 데는 이유가 있다. 보통 그리스 로마 신화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로부터 시작됐다고 말하지만, 그리스 로마 신화를 현대에 소개한 것은 전적으로 토머스 불핀치 의 공이다. 그는 당시에 민간에 퍼져있던 신화들을 하나로 모아 책으로 발간했는데, 이게 현대에 알려진 그리스 로마 신화의 원전처럼 사용된다. 토머스는 단순히 신화를 모았을 뿐 아니라 당시에 시로 전해지던 신화를 전부 산문으로 번역하여 재구성했다. 이것 덕분에 전공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도 널리 읽혀서 현재는 그리스 로마 신화라고 하면 토머스 불핀치의 책에 있는 내용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지는 정도로 유명하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나오는 그리스 로마 신화는 실제 내용과 상관없이 다들 불핀치를 원저자에 넣을 정도다. 다만 19세기 쓰인 책이며, 저자인 불핀치가 신화 연구가라기보다는 작가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신화학자들이 보는 것과 중요시하는 것이 다르다. 예를 들어 신화학자들은 보통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핵심 사건으로 트로이 전쟁을 뽑는다. 실제로 호메로스 일리아스가 쓰인 이후 일리아스의 인물과 사건을 설명하는 방향으로 나머지 그리스 신화가 완성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하지만 불핀치의 저서에서는 일리아스가 단순히 지나가는 한 사건 정도로 묘사되어 한 꼭지를 담당할 뿐이다. 또한, 보통의 신화학자라면 각 인물과 사건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에 집중하여 묘사했겠지만, 불핀치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담담하게 서술할 뿐이다. 덕분에 그리스인의 세계관을 보는 데는 큰 도움이 안 되지만, 어떤 인물이 어떤 사건을 겪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런 점이 대중에게 크게 어필한 것이 불핀치 판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인기 요인 중 하나가 아닌가 싶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불핀치의 지식이 그리스 신화 이외에는 크게 깊지 않다는 것이다. 19세기의 한계일 수도 있지만 북유럽

[책] 힘있는 글쓰기

이미지
2017년인가 2018년이었나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한참 열심히 글 쓰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봤자 일주일에 한 개를 못 썼지만. 힘있는 글쓰기 도 그 당시 읽은 책 중 하나다. 나는 글 쓰는 속도가 워낙 느리기 때문에 이 부분을 많이 고민했다. 그때 이 책을 읽고 글 쓰는 속도를 올리는 데 크게 도움이 됐다. 저자의 요점은 잘 쓰는 것이 아닌 많이 쓰는 것을 목적으로 최대한 많은 문장을 뱉어내고, 첨삭을 통해 글을 완성하라는 것이다. 정말 재능있는 작가가 아니면 좋은 문장으로 글을 처음부터 끝까지 채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너, 나,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이 처음부터 좋은 문장으로 글을 완성하려고 하면 글은 결코 완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많이 쓰고, 안 좋은 문장들을 다 쳐내서 나쁜 문장을 지우는 방식으로 글을 완성하라고 충고한다. 세상에 글을 쓰지 않는 사람은 없다. 전업으로 글을 쓰거나, 취미로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도 모두 언젠가는 글을 쓴다. 회사에서 보고서를 쓰는 것은 물론이고, 페이스북에 뻘글을 쓰는 것도 글을 쓰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가능하면 많은 사람이 이 책을 읽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