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021의 게시물 표시

[책] 랜들 먼로의 친절한 과학 그림책

이미지
랜들 먼로의 친절한 과학 그림책 이과 드립 만화  xkcd 운영자로 유명한 랜들 먼로가 쓴 아동용(?) 과학책이다. 원서 Thing Explainer 는 전문용어 없이 40여 개의 주제를 1,000개의 쉬운 단어만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번역하면서 사용된 단어는 1,500개로 늘었지만, 일상용어로 설명해준다. 전문 용어를 쓰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단점도 있다. 친절한 과학 그림책 으로 얻은 지식은 확장하기 힘들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 아니면 무엇을 알아봐야 할지 상상도 가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석유를 석유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불타는 물"이라고 표현하는 식이다. 문맥상 나올 단어가 석유라는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해당 내용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올바른 방법은 주변에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이 모르는 내용을 해석해주는 것으로 보인다. 주변에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가 있다면, 이보다 선물해주기 좋은 책은 없다. 하지만 그 아이가 자기 아이라면 잠시 고민을 좀 해봐야 한다. 결국 풀어서 해석해주는 것은 부모의 몫이 될 테니 말이다.

[책] 일본인과 에로스

이미지
일본인과 에로스 - 서현섭 2004년 나온 개정판이 아닌 1995년 판인 것을 보면 비행기 이야기 와 마찬가지로 헌책방에서 산 책인 것 같다. 언제 샀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아마 시기상으로는 2010년 즈음일 것이다. 이번에 다시 읽어보니 그때 읽었던 것과 또 다른 느낌이 든다.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책이 쓰인 1995년 읽은 독자들의 감상도 내가 이 책을 처음 읽었던 2010년 느낀 감상과는 꽤 다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1995년이면 아직 대중문화 개방을 하기 전이다. 지금처럼 인터넷이 발달한 시기도 아니었기 때문에 일본에 대한 지식은 전문가나 마니아의 영역이었다. 그런 시기였기 때문인지 일본 외교관 출신인 서현섭 작가의 책은 새로운 지식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당시 기준에서였고 지금은 아니다. 지금은 인터넷에서도 얼마든지 구할 수 있는 지식이 돼버렸다. 30년도 안 되는 사이에 세상 참 많이 변했다.

[책]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이미지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 스티븐 호킹 이 시대 가장 유명한 이론 물리학자 중 하나인 스티븐 호킹 의 대표적인 대중 서적으로, 현대 과학이 보는 우주에 대해 아무런 수식 없이 글만으로 설명한 책이다. 우주에 관한 책이지만 제목이 시간의 역사인 이유는 현대 과학에서 시간과 공간이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어 spacetime 으로 모델링 되기 때문이다. 즉, 시간의 역사는 시간과 공간의 역사이고, 나아가서 과학이 우주를 보는 세계관의 역사이다. 제목은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지만 책을 이해하는데 그림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1988년 출간한 A Brief History of Time 이라는 책이 있었는데, 그 증보판을 내면서 그림을 추가한 것이다. 다시 말해 그림 없이 글만으로도 충분히 완성도 있는 책이다. 대중 서적으로 분류되지만 어려운 주제를 다룬 만큼 읽기 쉽지 않다. 처음 완독할 때까지 몇 번이나 다시 읽었고, 이미 몇 번 읽은 책이지만 다시 읽으면 언제나 새롭다. 오죽하면 책을 구매한 사람과 실제 책을 읽은 사람의 비율을 계산한 지표에 호킹 인덱스 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가 이 책 때문이었을 정도다. 읽기 어려운 책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물리와 우주에 관해서 이보다 좋은 책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새로 책을 사는 사람이 이 책을 살 일은 없을 것이다. 아무래도 1988년에 쓰인 책이라 최신 내용은 담지 못했다. 호킹 박사는 양자역학이나 초끈이론과 관련한 최신 내용을 반영해 2005년에 재출간했다. 그리고 새 책은 우리나라에 "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라는 제목으로 출판됐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이름이 이름이다 보니 새 버전을 요약본이라 생각해 "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를 골랐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새로 살 사람들은 더 최신 내용이 반영된 "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를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책] 나는 너를 책처럼 읽을 수 있어

이미지
나는 너를 책처럼 읽을 수 있어 - 그레고리 하틀리 , 메리앤 커린치 미 육군에서 심문관으로 근무했던 그레고리 하틀리 가 지은 바디 랭기지를 읽는 노하우에 관한 책이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사람의 생각을 읽으려면 편견 없이 관찰하지만 관찰한 결과를 그 사람의 문화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 즉, 사람의 생각을 책처럼 읽을 수는 있지만, 그 책은 쉬운 그림 동화가 아니라 사전 지식이 필요한 외국어로 쓰인 전문 서적이다. 여기에서 이 책의 큰 문제가 있다. 아무리 한국의 생활이 서구적으로 됐다고 해도 한국인이 미국인이 아닌 이상 둘의 문화에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바디 랭기지는 행위자의 사고방식이 어떤 문화에 기반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저자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어떤 식으로 행동하는지 알려주려고 노력하지만, 어찌 됐든 그가 태어나고 자란 미국 문화를 기반으로 서술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책에 나온 서술 중에서 어떤 행동이 한국인에게도 적용되는 것일까? 큰 그림을 제외하면 세세한 기술들은 한국인에게는 별 도움이 안 될 것이다. 그런데 책의 내용이 유익한가와 별개로 책 자체는 재밌게 읽을 수 있다. 글을 잘 썼기 때문이다. 추측이긴 하지만, 나는 이 건 전적으로 메리앤 커린치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매우 특이한 이력을 가졌다. 30권이 넘는 책을 썼는데 그중 대부분이 공동 저자다. 그리고 그 책들에 그녀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무슨 말인가 하면 책의 내용을 보면 그녀가 없이 공동 저자가 혼자 책을 썼다고 해도 이해가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 나는 너를 책처럼 읽을 수 있어 "의 경우에도 미 정보국 출신 그레고리 하틀리 의 경험과 지식으로 책을 구성하기 때문에 공동 저자에 이름을 올린 메리앤이 끼어들 자리는 없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author와 writer가 구분된 것이다. author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책을 쓰지만, 책을 완성하는 것은 어디까지

구독하던 블로그들을 정리했다

이미지
이미지 출처 오랜만에 구독하던 블로그들을 정리했다. 2013년 구글리더 가 죽고 Feedly 로 옮겨간 뒤 처음 하는 작업이니 8년 만에 처음 하는 일이다. RSS로 블로그를 본 지 10년이 넘었다 보니 오래된 블로그들도 많이 있었고, 당연히 이제는 업데이트되지 않거나 링크 자체가 연결이 안 되는 블로그도 많이 있었다. 블로그 주소를 바꾼 사람도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다른 서비스로 이전했을 거고, 아마 절필한 사람도 있을 거다. 이유야 어찌 됐든 처음 프로그래밍을 공부할 때 신세 졌던 많은 사람의 글을 볼 수 없다는 건 아쉬운 일이다. 그런데 오랫동안 업데이트가 없는 피드들을 정리하다 보니 재밌는 현상이 보였다. 블로그 자체는 최신 글이 올라오는데 RSS 피드가 업데이트되지 않는 것이다. 사실 이런 블로그를 보는 것이 처음은 아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괜찮은 글을 쓰길래 구독하려고 했는데 피드를 제공하지 않는 구독하지 못한 경우가 꽤 있었다. 새 글을 쓰면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SNS를 통해서 알려주고 별도의 피드를 제공하지 않는 식이었다. 당장 내 블로그도  Trackback 을 사용하지 않고 있고, 답글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블로그도 꽤 봤었다. 하지만 블로그는 당연히 피드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해왔기 때문에 피드를 제공하지 않는 블로그는 꽤나 충격적이었다. 그럴거면 그냥 미디엄 이나 텀블러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면 되지 왜 블로그를 하는 걸까? 어쨌든 이런 블로그들이 늘고 있다. 심지어 과거에는 피드를 제공했던 블로그들조차 피드를 제공하지 않기 시작했다. 내가 이해되느냐와 상관없이 그냥 세상이 변하고 있는 거니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