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기를 15주나 하는건 너무 길다.

 매 학기 언제나 6월 1일이나 12월 1일에는 지쳐서 더는 아무것도 하기 싫다.

 애초에 모든 과목을 15주를 연속으로 들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 15주는 무언가를 배우기에 충분히 긴 시간도 짧은 시간도 아니다.
 쉬운 내용은 배우는데 15주가 걸리지 않는다. 이런 내용은 보통 몇 개를 모아서 한 학기 수업을 구성한다. 그리고 개론이나 그 분야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사를 붙여버린다.
 어려운 내용은 15주로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그런 과목은 2개로 나누어진다. 그런데도 *** 1, *** 2로 나누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런 건 1학년에 교양으로 들어야 하는 수학이나 과학에서밖에 보지 못했다. 이름만 봐서는 둘이 연결된 내용이었다는 것도 모를 정도로 다른 과목으로 연결된다. 게다가 수업에서 어떤 내용을 할지는 전적으로 교수 재량이기 때문에 두 수업을 같은 교수에게 듣지 않으면 별개의 내용을 배울지도 모른다.
 뭐 배우기라도 하면 다행이다. 내용이 어설프게 많을 경우 뒤의 내용은 그냥 넘어간다. 그 내용을 다루는 다른 수업을 열고 싶다는 말은 하시지만 실제로 열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궁금하면 그냥 알아서 공부해야 한다.

 모든 과목을 15주로 고정하는 이유는 관리의 편리함을 위해서일 것이다. 몇천 명의 학생들을 모아서 가르치고 성적을 매겨야 하니 모든 과목을 같은 기한만큼 가르치지 않으면 관리할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것이 지금도 필요한가는 의문이다. 지금은 19세기가 아니다. 21세기다. 무언가를 배우기 위해 모든 사람이 같은 장소에 모일 이유가 없다.
 토론이나 Q&A같이 한 장소에 모여야 하는 일이 있으면, 그때만 모이면 된다. 아니 애초에 토론이나 Q&A를 위해 한 장소에 모여야 하는 것 자체가 구시대적인 발상이다. 한 20세기 정도에는 모를까 지금은 그럴 이유를 모르겠다. 스카이프 등을 이용하면 최대 10명까지의 화상통화를 지원한다. 오히려 이를 이용하여 더 밀도 있는 토론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아 학교가기 싫다.

댓글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노트북 하판에 구멍내기

[축] Github longest streak 100일 달성

[책] 랜들 먼로의 친절한 과학 그림책

광축 키보드는 리니어가 맞는것 같다

[게임] 단간론파 - 희망의 학원과 절망의 고교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