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상판을 뜯어냈던 것 으로는 온도가 딱히 내려가지 않았다. 그래서 조금 더 극단적인 방법을 취해보기로 했다. 노트북 아래 바람구멍을 내서 발열을 돕는 것이다. 당연히 하판에 구멍을 뚫는 것만으로는 크게 소용없겠지만, 쿨링 패드를 사용해서 아래쪽에서 끊임없이 바람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구멍을 뚫는 것만으로 꽤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됐다. 말하고 보니 이게 노트북에서 모니터를 뜯는 것보다 더 극단적인 방법인지 모르겠지만, 손이 더 많이 가기 때문에 가능하면 하기 싫었던 일이다. 우선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작업으로 키보드를 분리해냈다. 어차피 모니터도 없는 노트북 USB로 키보드를 연결 못 시키는 상황이 오면 그때는 정말 버려야 할 때라고 생각하고 뜯어버렸다. 당연히 아무 곳에나 구멍을 뚫는 것은 크게 소용없다. 어디까지나 발열을 돕기 위한 것이므로 열이 많이 날 것 같은 곳에 구멍을 뚫어야 한다. 그래서 찾은 타깃은 다음과 같다. 1. 하드디스크 해봐야 40~50도 정도이긴 하지만 그래도 HDD의 발열도 생각보다 크다. 특히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노트북같이 밀폐된 공간에서는 다른 부품의 열을 받아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열보다 온도가 더 올라가기도 한다. 2. SSD 사실 SSD는 발열이 그리 크지 않다. 냉정하게 생각해봤을 때 굳이 구멍을 낼 이유는 없을 것 같지만, 기왕 작업하는 김에 같이 구멍을 뚫었다. 3. 배터리 평소 배터리는 발열이 심한 파트는 아니다. 특히 내가 쓰는 환경과 같이 24시간 전원을 꽂아놓고 쓰는 경우 더더욱 배터리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온도가 올라가면 위험한 파트이기 때문에 특별히 구멍을 뚫었다. 4. RAM RAM은 특별히 오버클럭을 하지 않으면 딱히 발열이 심하지 않다. 그래서 아무 작업도 안 하려고 했다. 하지만 RAM 교체를 위해 부분적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었기 때문에 판을 여는 것만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냥...
기계식 키보드를 쓰는 사람들은 '보강판 때리는 소리'라는 표현을 들어봤을 것이다. 키보드 리뷰에도 흔히 보이는 표현이다. 이 보강판 때리는 소리 때문에 흑축이나 적축 키보드를 사용해도 기계식 키보드에서 소음을 100% 잡기 힘들다. 하지만 이는 사실 틀린 표현으로 정확히는 '보강판이 울리는 소리'라고 표현해야 한다. 아무리 눌러도 키캡은 보강판에 닿지 않는다. 보강판을 때린다고 하면 흔히 키캡을 누를 때 키캡이 보강판을 때린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키캡은 보강판에 닿지 않는다. 이 소리의 정체는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소리다. 보강판의 유무로 소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보강판을 때리는 소리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이는 스위치에서 발생한 소리가 보강판을 통해 울리기 때문이지, 보강판 자체가 소리의 원인은 아니다. 이 소리를 줄이는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스프링 자체의 튕김음이 발생하는 경우는 스프링 윤활밖에 답이 없다. 문제는 윤활된 정도에 따라 키감이 많이 변하는데 모든 스위치를 동일하게 윤활할 자신이 없어 좋아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소음은 어차피 많이 쓰면 대충 잡히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고 쓴다. 두 번째 원인은 스위치 하우징과 슬라이더 사이에서의 충격음이다. 정확히는 키를 눌렀을 때, 슬라이더가 하부를 때리는 소리와 키에서 손을 땠을 때, 슬라이더가 올라오며 하우징 상부를 때리는 소리다.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고 싶으면 키를 누르고 손을 바로 때지 않고 잠시 후에 손을 때보자. 둘 다 스프링 소리와는 다른 뭔가 둔탁한 타격음이 들리는 것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소리를 막기 위해 나오는 저소음 스위치들은 슬라이더와 하우징이 닿는 부분에 부드러운 소재를 덧댄 스위치를 말한다. 하우징 하부와 슬라이더 사이의 소리는 구름 타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하우징 상부와 슬라이더 사이에서 나는 소리는 저소음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key down시 푸른색 동그라미에서 key up시 붉은색 동그라미에서 소리...
대략 2년 전쯤 지인에게 uplus vision 30인치 모니터를 중고 구매했다. 유명한 모니터는 아니지만 30인치 모니터로 2560x1600 해상도를 지원하는 나름 고사양 모니터로 전 세계적으로 일종의 팬덤까지 있는 모니터이다. 하지만 2560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하기 위해서 DVI 케이블이 듀얼링크를 지원해야 하는데, 가지고 있는 케이블이 전부 싱글링크밖에 지원하지 않아서 그동안 1920 해상도밖에 사용하지 못했었다. 사실 케이블만 사면 되는 문제라 금방 해결될 문제였지만, 케이블 하나 사려고 택배비를 지불하기도 아깝고, 케이블 사러 밖으로 나가는 것도 귀찮아서 그동안은 1920 해상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거의 2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야 케이블을 사왔다. 사실 케이블이 아니라 다른 것을 사러 갔다가 간 김에 산 거긴 한데, 뭐 어쨌든 그래서 2년 만에 2560 해상도를 제대로 사용하게 됐는데, 이건 진짜 쩐다. 거의 듀얼모니터를 처음 썼을 때 만큼의 충격이다. 아니 어쩌면 그 이상이다. 30인치 이상의 모니터를 써본 사람들이 왜 듀얼모니터로 돌아가지 않는지 알 것 같다. 그동안 이 좋은 것을 안 쓰고 1920을 썼던 내가 바보 같다.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 스티븐 호킹 이 시대 가장 유명한 이론 물리학자 중 하나인 스티븐 호킹 의 대표적인 대중 서적으로, 현대 과학이 보는 우주에 대해 아무런 수식 없이 글만으로 설명한 책이다. 우주에 관한 책이지만 제목이 시간의 역사인 이유는 현대 과학에서 시간과 공간이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어 spacetime 으로 모델링 되기 때문이다. 즉, 시간의 역사는 시간과 공간의 역사이고, 나아가서 과학이 우주를 보는 세계관의 역사이다. 제목은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지만 책을 이해하는데 그림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1988년 출간한 A Brief History of Time 이라는 책이 있었는데, 그 증보판을 내면서 그림을 추가한 것이다. 다시 말해 그림 없이 글만으로도 충분히 완성도 있는 책이다. 대중 서적으로 분류되지만 어려운 주제를 다룬 만큼 읽기 쉽지 않다. 처음 완독할 때까지 몇 번이나 다시 읽었고, 이미 몇 번 읽은 책이지만 다시 읽으면 언제나 새롭다. 오죽하면 책을 구매한 사람과 실제 책을 읽은 사람의 비율을 계산한 지표에 호킹 인덱스 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가 이 책 때문이었을 정도다. 읽기 어려운 책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물리와 우주에 관해서 이보다 좋은 책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새로 책을 사는 사람이 이 책을 살 일은 없을 것이다. 아무래도 1988년에 쓰인 책이라 최신 내용은 담지 못했다. 호킹 박사는 양자역학이나 초끈이론과 관련한 최신 내용을 반영해 2005년에 재출간했다. 그리고 새 책은 우리나라에 "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라는 제목으로 출판됐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이름이 이름이다 보니 새 버전을 요약본이라 생각해 "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를 골랐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새로 살 사람들은 더 최신 내용이 반영된 "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를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경제학 콘서트 는 지난번에 리뷰한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와 함께 가장 유명한 경제학 교양서적 중 하나다. 원제는 The Undercover Economist 인데 이름 그대로 이 책은 경제학의 중요한 개념을 자신이 경제학자라는 것을 숨긴 것처럼 일상의 용어와 예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어려운 용어나 수식 없이 개념들을 설명하기 때문에 읽기 쉽다. 하지만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가 경제학사에 가깝다면 이 책은 하나하나의 토픽에 더 집중한 괴짜 경제학 에 가깝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책의 제목을 경제학 콘서트 라고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의 구성은 콘서트와 아무 상관 없다. 책 이름을 *** 콘서트라고 쓴 책은 많다. 어쩌면 일종의 유행으로 보인다. 하지만 경제학 콘서트보다 먼저 출판된 책 중에서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와 지혜로운 삶을 위한 철학 콘서트 뿐이다. 둘 다 2003년 출시됐고, 경제학 콘서트가 2006년 출시된 이후 다른 책들이 제목에 콘서트를 쓰기 시작했으니 오히려 유행을 만든 편에 속한다. 당시 유행했던 개그 콘서트 때문인가? 어찌 됐든 이 책은 어떻게 봐도 콘서트라는 이름을 붙이기에 적절한 구성은 아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