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다닐 때 처음 사서 읽고, 신입 시절 읽고, 오늘 또 읽었는데, 읽을 때마다 느낌이 달라진다. 워낙 유명한 책이고 이 책의 내용은 이곳저곳에서 많이 인용되기 때문에 대부분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일 것이다. 그래도 이 책은 구매해서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가능하면 시간이 지나서 다시 읽어보며 "생각이 이렇게 변했구나"하는 것을 느껴봤으면 좋겠다.
지난번 상판을 뜯어냈던 것 으로는 온도가 딱히 내려가지 않았다. 그래서 조금 더 극단적인 방법을 취해보기로 했다. 노트북 아래 바람구멍을 내서 발열을 돕는 것이다. 당연히 하판에 구멍을 뚫는 것만으로는 크게 소용없겠지만, 쿨링 패드를 사용해서 아래쪽에서 끊임없이 바람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구멍을 뚫는 것만으로 꽤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됐다. 말하고 보니 이게 노트북에서 모니터를 뜯는 것보다 더 극단적인 방법인지 모르겠지만, 손이 더 많이 가기 때문에 가능하면 하기 싫었던 일이다. 우선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작업으로 키보드를 분리해냈다. 어차피 모니터도 없는 노트북 USB로 키보드를 연결 못 시키는 상황이 오면 그때는 정말 버려야 할 때라고 생각하고 뜯어버렸다. 당연히 아무 곳에나 구멍을 뚫는 것은 크게 소용없다. 어디까지나 발열을 돕기 위한 것이므로 열이 많이 날 것 같은 곳에 구멍을 뚫어야 한다. 그래서 찾은 타깃은 다음과 같다. 1. 하드디스크 해봐야 40~50도 정도이긴 하지만 그래도 HDD의 발열도 생각보다 크다. 특히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노트북같이 밀폐된 공간에서는 다른 부품의 열을 받아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열보다 온도가 더 올라가기도 한다. 2. SSD 사실 SSD는 발열이 그리 크지 않다. 냉정하게 생각해봤을 때 굳이 구멍을 낼 이유는 없을 것 같지만, 기왕 작업하는 김에 같이 구멍을 뚫었다. 3. 배터리 평소 배터리는 발열이 심한 파트는 아니다. 특히 내가 쓰는 환경과 같이 24시간 전원을 꽂아놓고 쓰는 경우 더더욱 배터리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온도가 올라가면 위험한 파트이기 때문에 특별히 구멍을 뚫었다. 4. RAM RAM은 특별히 오버클럭을 하지 않으면 딱히 발열이 심하지 않다. 그래서 아무 작업도 안 하려고 했다. 하지만 RAM 교체를 위해 부분적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돼 있었기 때문에 판을 여는 것만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냥...
기계식 키보드를 쓰는 사람들은 '보강판 때리는 소리'라는 표현을 들어봤을 것이다. 키보드 리뷰에도 흔히 보이는 표현이다. 이 보강판 때리는 소리 때문에 흑축이나 적축 키보드를 사용해도 기계식 키보드에서 소음을 100% 잡기 힘들다. 하지만 이는 사실 틀린 표현으로 정확히는 '보강판이 울리는 소리'라고 표현해야 한다. 아무리 눌러도 키캡은 보강판에 닿지 않는다. 보강판을 때린다고 하면 흔히 키캡을 누를 때 키캡이 보강판을 때린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키캡은 보강판에 닿지 않는다. 이 소리의 정체는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소리다. 보강판의 유무로 소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보강판을 때리는 소리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이는 스위치에서 발생한 소리가 보강판을 통해 울리기 때문이지, 보강판 자체가 소리의 원인은 아니다. 이 소리를 줄이는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스프링 자체의 튕김음이 발생하는 경우는 스프링 윤활밖에 답이 없다. 문제는 윤활된 정도에 따라 키감이 많이 변하는데 모든 스위치를 동일하게 윤활할 자신이 없어 좋아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소음은 어차피 많이 쓰면 대충 잡히기 때문에 그냥 포기하고 쓴다. 두 번째 원인은 스위치 하우징과 슬라이더 사이에서의 충격음이다. 정확히는 키를 눌렀을 때, 슬라이더가 하부를 때리는 소리와 키에서 손을 땠을 때, 슬라이더가 올라오며 하우징 상부를 때리는 소리다. 이 둘의 차이를 구분하고 싶으면 키를 누르고 손을 바로 때지 않고 잠시 후에 손을 때보자. 둘 다 스프링 소리와는 다른 뭔가 둔탁한 타격음이 들리는 것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소리를 막기 위해 나오는 저소음 스위치들은 슬라이더와 하우징이 닿는 부분에 부드러운 소재를 덧댄 스위치를 말한다. 하우징 하부와 슬라이더 사이의 소리는 구름 타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하우징 상부와 슬라이더 사이에서 나는 소리는 저소음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key down시 푸른색 동그라미에서 key up시 붉은색 동그라미에서 소리...
리얼포스를 사용한 뒤로 기계식 키보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떨어졌다. 당시 널리 사용되던 흑축, 적축, 갈축, 청축, 녹축은 전부 사용해봤고 기판도 다양하게 사용해봤지만, 만족감이 리얼포스를 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남은 방법은 스위치를 분해해 스프링을 교체하는 것뿐이었는데 이건 너무 귀찮았고, 이 귀찮음을 이기고 스위치를 개조해도 리얼포스를 이기지 못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 순간부터 리얼포스만 사용하고, 다른 키보드는 무선이나 미니 키보드가 필요한 경우에만 쓰는 서브 키보드로 전락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는 선배 집을 놀러 갔더니 신기한 키보드들을 소개해주었다. 알고 보니 2014년 체리 스위치의 특허가 풀리면서 다양한 스위치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체리와 협업해서 나온 일부 스위치와 중국에서 생산된 아는 사람만 아는 스위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색의 스위치들도 출시되었다. 이로 인해 스위치를 개조하지 않아도 손에 맞는 스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더 이상 기계식 키보드는 구매하지 않으려 했지만 새로 나온 스위치를 써보고 싶어졌다. 스위치만 사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키보드의 스위치를 교체하는 방법도 있지만 더 이상 납땜질은 하기 싫어, 그냥 키보드를 새로 샀다. 그래서 이번에 구매한 키보드는 COX사의 CK87 BT 블랙 게이트론 황축이다. 특별히 이 모델이 좋아서 구매한 것은 아니고 황축 스위치를 사용하는 모델 중, 스위치 핫스왑이 가능한 모델 중 가장 저렴한 모델이라 구매한 것인데, 일단 외관상으로는 상당히 만족스럽다. 고급 키캡은 기대하지 않았는데 PBT 소재에 이중 사출 키캡이라 색도 고급스럽게 잘 나왔다. 이외에도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들어있다. 특히 3개까지 멀티 페어링을 지원한다는 건 나처럼 컴퓨터를 여러 개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큰 장점이다. 정작 가장 중요한 키감은 약간 미묘하다. 게이트론 황축은 적축이나 흑측과 같은 리니어 방식인데 키압이 적축과 흑축 중간이다. 적축이 45g, 흑...
4년쯤 전에 노트북을 산 적이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작은 모니터에서 코드 보는 걸 매우 싫어해서 일단 큰 화면이 최우선사항이었다. 다음은 크롬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16GB 이상의 RAM이 들어있는 것이었고, 마지막은 OpenCL과 OpenGL이 적당한 성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nvidia GPU가 있는 것이었다. 그중에서 가장 저렴한 모델을 고르니 무게가 2kg이 넘고 사용시간은 4시간이 안 되는 Gigbyte의 U35가 나왔다. 결국 너무 무거운 무게 때문에 들고 다니지 않고 일반 컴퓨터보다 저전력, 저소음이라는 이유로 집에서 서버 대용으로 사용하고 다음 노트북 을 구매할 때는 무게를 제일 우선으로 고르게 됐다. 문제는 이 노트북이 최근 발열이 잘 안 되기 시작했다. 오래 써서 수명이 다 돼가서 그런지 1년 가까이 거의 24시간 켜놓은 것이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조금이라도 발열을 시키기 위해서 상판을 열고 사용한다. 근데 이렇게 쓸 거면 상판을 떼고 모니터가 필요하면 외부 모니터를 사용하는 게 어떨까 싶었는데 이래도 GPU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귀찮아서 안 하고 있었다. 근데 기종은 다르지만 어떤 컴갤러가 망가진 노트북 분해해서 쓰는 글 을 보고 별문제 없을 것 같아 분해해버렸다. 이 노트북은 이미 부품 교체하느라 여러 번 뜯어봤던지라 별문제 없을 거로 생각했는데 하나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겼다. 무선 랜카드의 안테나가 모니터 쪽으로 연결된 것이었다. 위 이미지의 붉은 네모가 안테나에서 나온 케이블인데 이게 노란 원으로 표시한 부분에 연결돼 있었다. 잠시 망설이기는 했지만, 네트워크는 그래도 최악의 경우에는 유선을 이용하면 되기 때문에 분리했다. 예상했던 대로 무선 네트워크는 제대로 동작을 안 했다. 수신율이 떨어져서인지 패킷 유실이 많거나, 응답시간이 너무 길었다. 처음에 계획했던 대로 유선 랜을 사용하면 되지만, 이대로 무선을 포기하기는 약간 아쉬웠다. 그래서 일단 모니터에 안테나가 어떻게 설치돼 있는지 확인해보기로 ...
영어는 3단어로 라는 제목은 눈을 끌기 위한 약간의 과장이고, 복잡한 문장을 써서 틀리느니 주어 + 동사 + 목적어 의 3형식 문장을 만들어 쓰라는 것이 주제다. 제목에는 대화가 되는 초간단 영어법 이라고 돼 있지만 그보다는 회사에서 영어로 메일 쓸 때 유용하다. 대화하는데도 간단하게 말하면 좋겠지만, 대화는 보통 양방향이다. 내가 간단하게 말해도 상대방이 복잡하게 말할 수도 있어서, 결국 복잡한 표현도 다 외워야 한다. 대화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그래도 작문하는 데는 많은 도움이 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