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의식과 전쟁 - 고대 국가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의식과 전쟁
의식과 전쟁 - 박대재

고대 국가는 어떻게 형성되어 어떤 모습으로 유지됐을까? 고대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궁금해할 질문이다. 당시 기록이 얼마 남지 않았을뿐더러 그 기록들은 우리의 궁금증을 풀어주기 위해 기록한 것이 아니다. 때문에 우리는 여러 정황을 근거로 추론할 수밖에 없다 이 책은 고대 국가의 형태를 도시 국가, 분권 국가, 중앙 집권 국가의 3가지로 분류하는데, 그중 분권 국가에 특히 관심을 두고 있다.

분권 국가는 왕은 중심지만 직접 지배하고 지방 영토는 왕과 혈연 동맹관계인 사람들에게 분봉하는 분권 국가 형태를 말한다. 여기서 혈연 동맹이란 지배자의 혈족뿐 아니라 결혼을 통해 맺어진 친족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정복 전쟁뿐 아니라 외교와 교섭을 통해 영토 확장을 하기도 한다. 이때 지방의 지배자들은 각 지역에서 왕 못지않은 자치권을 누리며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지방 귀족들이 독립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국가 내에 질서를 유지하고 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식과 전쟁이 분권 국가를 유지하는 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고 있다.

의식과 전쟁의 저자는 분권 국가라는 개념을 이용해 4세기 고구려와 백제가, 6세기 신라가 중앙집권화됐다는 통념에 반대한다.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그 당시는 중앙집권화가 진행 중인 분권 국가의 형태였고, 고구려는 결국 중앙 집권 국가를 완성하지 못했고, 백제는 멸망 직전에서야 중앙 집권화가 완료했으며 신라도 7~8세기에 이르러서야 완성했다고 말한다. 그 근거로 지방까지 일원적인 지배체제가 존재하지 않고 주요 지역에만 관리자를 보내는 거점 지배 방식을 유지했다는 것을 든다. 따라서 4세기 고구려나 백제는 중앙집권화가 진행 중인 분권 국가라는 것이다.

재밌는 주장이지만 동의하지는 않는다. 분권 국가의 지방 통치자들은 왕의 혈연 동맹자이고 그 하위 지역의 행정을 책임졌던 것에 반해, 고구려나 백제는 거점에 파견된 관리도 중앙의 관리이고 그 하위 성, 촌의 수장에도 중앙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했다. 통일신라 이후 더 정교해진 행정체제와 비교하기에는 미흡해 보일 수도 있지만, 4세기 이후 고구려와 백제를 중앙집권화가 안 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노트북 하판에 구멍내기

[축] Github longest streak 100일 달성

[책] 랜들 먼로의 친절한 과학 그림책

광축 키보드는 리니어가 맞는것 같다

UP-M30W - 2560 해상도는 신세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