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일을 나타내는 순 우리말은?

없다.

요일을 순우리말로 번역해 해날, 다날, 부날, 무날, 남날, 쇠날, 흙날로 번역해 사용한 사례를 보았다. 이게 뭔 소리인가 해서 찾아보니 순우리말을 너무 사랑하는 일부 사람들이 이런 이름을 붙인 모양이다. 하지만 이건 제대로 된 번역이 아니다. 번역이라는 말을 붙이기 아쉬울 정도다. 그냥 아무거나 가져다 붙인 거다. 이 번역어를 억지 번역이라고 하는 이유는 언어의 기원은 생각도 않고 눈에 보이는 것만 번역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보이는 것도 온전히 번역하지도 못했다.

해, 달을 비롯해 지구에서 사람 눈으로 관측 가능한 5개의 행성을 동양에서는 칠요(七曜)라고 불렀다. 이 중 눈에 띄게 큰 해와 달을 제외한 5개의 행성은 수성부터 태양에 가까운 순서대로 진성(辰星), 태백성(太白星), 형혹성(熒惑星), 세성(歲星), 진성(鎭星)으로 불렸다. 하지만 춘추전국시대 쯤부터 오행 사상의 화수목금토와 연관지어 생각했다고 한다.

칠요를 특별시 한 것은 동양뿐 아니라 천문학이 조금이라도 발전한 지역에서는 모두 마찬가지였다. 예를 들면 고대 바빌론에서는 이 일곱 개의 천체 각각이 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이런 생각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 이어졌다. 그들도 각각의 천체에 신의 이름을 붙였는데 이 이름들은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들일 것이다. 이 일곱 개의 이름이 달력에 들어간 것은 고대 로마 시대 유대교 문화가 로마에 들어가면서라고 한다. 보통 이런 건 이집트가 기원이기 마련이지만 이번에는 아니다. 이집트는 7일이 아닌 10일을 기준으로 달력을 설계했다.

7일을 기준으로 달력을 나누는 문화와 classical planet을 신성시하는 문화가 만나 로마 사람들은 요일에 신의 이름을 붙였다. 첫날에는 태양의 신 Sol, 둘째 날에는 달의 신 Luna, 그 뒤로는 각각 Mars, Mercury, Jupiter, Venus, Saturn의 이름이 붙었다. 이 이름의 흔적은 라틴어에는 남아있지만, 영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게르만이 이 문화를 이어가며 자신들의 방식으로 새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다. SolLuna는 각각 북구 신화의 태양의 신과 달의 신인 SolMani로 대체되었다. Mars는 전쟁의 신이던 Tyr, MercuryWoden(Odin의 다른 이름), Jupiter는 천둥의 신 Thor, Venus는 미와 사랑의 여신이던 Frigg로 대체됐다. 유목민인 게르만인에게 농경의 신이던 Saturn은 대응되는 신이 없었기 때문인지 Saturn은 살아남았다. 이 이름이 시간이 지나 변형되어 현재 영어에서 볼 수 있는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가 됐다.

이 이름이 동양으로 와 칠요와 묶여 요일로 번역됐다.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은 단순히 불의 날, 물의 날, 나무의 날, 쇠의 날, 흙의 날이 아닌 화성의 날, 수성의 날, 목성의 날, 금성의 날, 토성의 날인 것이다. 즉, 해날다날은 그렇다 해도 수요일부터 토요일을 단순히 부날, 무날, 남날, 쇠날, 흙날로 번역한 것은 애초부터 틀린 번역이다. 이게 맞다고 하려면 우리나라 고유어로 화성을 불별, 수성을 물별로 불렀다는 기록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샛별 혹은 개밥바라기로 불렸던 금성 외에 다른 고유어 이름은 기록이 없다.

트랜스 지방변이 지방이라고 번역하려던 노력이 있었다. 심지어 국립국어원이 말이다. 문제는 트랜스 지방의 trans-는 변이를 의미하지 않는다. 알고 있는 trnas-라는 어근이 변한다는 의미밖에 없었던 국립국어원의 몰이해로 나온 헛소리였다. 이번 사례도 비슷하다. 단어의 기원이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려고 하지도 않고 눈에 보이는 대로 번역하려고 한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번 사례는 국립국어원발은 아니고 일부 언어 순수주의자들의 헛소리라는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흡음시트로 기계식 키보드 소음을 줄여보자 (스포: 실패함)

노트북 하판에 구멍내기

이상한 블로그 발견

노트북 상판 뜯기

을밀대 - 녹두전? 고기전?